웹진
-
펜더 스트라토캐스터 셋업 가이드 -1
"Fender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Stratocaster의 셋업과 관리에 관한 글로 Stratocaster를 소유한 플레이어에게 좋은 참고글이 될 것입니다. 기타네트에서 번역하여 제공합니다. ● Fender Stratocaste?(펜더 스트라토캐스터) 셋업과 관리 - ①편 다음의 셋업 과정과 정보는 팩토리 세팅(스트링 포함) 상태를 가정으로 한 글이므로, 줄의 게이지를 바꾼 경우 등에는 새로운 세팅 방식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이 글은 가이드 성격의 글로 최소한의 세팅법만 제공하고 있으며 개인적인 취향이나 습관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1. 셋업에 필요한 공구 - Automotive feeler 게이지 세트 (.002~.025) (0.05~1mm) - 6"(150mm) 자 (1/32", 1/64" 단위) - 머신 오일 - 스크류드라이버 - 튜너 - 와이어커터 - 줄감개 - 폴리시와 천 2. 줄(Strings) 세팅 항상 안정된 튜닝 상태를 유지하려면 정기적으로 줄을 교체해 주어야 합니다. 줄은 장시간 연주시 닳고 산화되거나 이물질이 묻기 때문에, 원래의 상태에서 벗어나 피치가 제대로 맞지 않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줄을 교체해야 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프렛과 맞닿는 줄 아래쪽을 손으로 문질러 보십시오. 만약 이물질이나 프렛에 눌린 자국 등의 감촉이 느껴진다면 줄을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줄을 교체하고 난 뒤에는 1프렛부터 차례대로 줄 아래쪽으로 손가락을 넣어 튕겨주듯이 줄을 약간 스트레칭하면서 튜닝 과정을 반복해야 정확한 튜닝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3. 트레몰로(Tremolo)와 브릿지 Fender Stratocaster(펜더 스트라토캐스터)에 사용되는 브릿지는 총 4개 정도의 종류가 있습니다. 가장 잘 알려진 브릿지는 빈티지-스타일 "싱크로나이즈드(synchronized)" 트레몰로이며, 모던한 Two-Pivot 브릿지인 American Series 브릿지, Non-Tremolo 하드테일 브릿지, 락킹 트레몰로 브릿지 등입니다. 만약 Non-Tremolo 하드테일 브릿지가 장착된 모델을 갖고 있다면 이 항목은 참고하지 않아도 됩니다. 트레몰로와 브릿지를 세팅하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트레몰로 뒷 커버를 제거한 다음 튜닝상태를 체크합니다. 빈티지-스타일 트레몰로 브릿지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트레몰로 암을 사용해 브릿지를 바디와 수평이 될 때까지 당겨준 뒤 브릿지 플레이트 앞쪽에 있는 여섯개의 나사를 브릿지 플레이트 위쪽으로 약 1/16" (1.6 mm)까지 풀어줍니다. 그리고 바깥쪽 두개의 나사를 다시 조여줍니다. 이 상태에서 브릿지는 바깥쪽 나사가 중심축이 됩니다. American 시리즈 브릿지와 같은 Two-Pivot 브릿지의 경우에는 트레몰로 암을 사용하여 브릿지를 당겨준 뒤 두 개의 축 나사를 트레몰로 플레이트가 바디와 수평이 될 때 까지 조정한 뒤 브릿지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합니다. Fender 에서 권장하는 기본 스펙은 브릿지 뒤쪽에 약 1/8" (3.2 mm) 의 공간이 있는 것입니다. 스프링과 스트링 사이의 적절한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이와 같은 세팅작업을 해주어야 합니다. 만약 브릿지가 바디쪽에 더 밀착되는 것을 선호한다면 스프링 텐션을 스트링 텐션과 동일하게 조정하여 줍니다. 스프링을 너무 타이트하게 세팅하면 트레몰로 사용시 암에 불필요한 텐션이 가해지므로 주의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챕스틱이나 바셀린과 같은 제품을 피벗 접촉점에 소량 발라주면 브릿지가 매우 부드럽게 동작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4. 줄 손상 방지하기 줄과 맞닿는 모든 접촉점을 부드럽게 해 주는 것은 튜닝의 안정성과 줄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입니다. 줄이 손상되는 가장 큰 이유는 줄이 닿게 되는 브릿지의 새들에 습기가 차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연주자의 땀이나 공기상의 습기 등에 의해 새들이 부식되면서 줄이 손상되는 것이며, 줄과 새들은 모두 금속 재질이기 때문에 둘 사이에서의 마찰에 의해서도 부식이 일어납니다. 금속은 서로 맞닿으면 서로 반응을 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강한 금속이 약한 금속의 부식을 촉진하게 됩니다. 서로 다른 브랜드의 줄을 사용했을 때 줄이 손상되는 시기가 서로 다른 것은 각 줄 제조사 마다 제조 공법과 사용하는 금속 성분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Fender 에서 생산되는 줄은 당연히 Fender의 악기와 가장 잘 매칭되도록 생산되며, 트레몰로의 오랜 사용에도 잘 부식되지 않도록 디자인 되었습니다. 스트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트링과 새들의 접촉점에 Machine Oil 을 발라주는 것은 매우 효과적입니다. 이러한 오일은 금속의 손상이나 습기로부터 새들과 스트링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스트링 트리(헤드머신의 스트링 가이드) 부분 역시 금속간의 접촉점이므로 립-밤과 같은 것을 살짝 발라주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August 08. 2018 -
펜더 스트라토캐스터 셋업 가이드-2
"Fender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Stratocaster의 셋업과 관리에 관한 글로 Stratocaster 를 소유한 플레이어에게 좋은 참고글이 될 것입니다. 기타네트에서 번역하여 제공합니다. ● Fender Stratocaster(펜더 스트라토캐스터) 셋업과 관리 - ②편 다음의 셋업 과정과 정보는 팩토리 세팅(스트링 포함) 상태를 가정으로 한 글이므로, 줄의 게이지를 바꾼 경우 등에는 새로운 세팅 방식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이 글은 가이드 성격의 글로 최소한의 세팅법만 제공하고 있으며 개인적인 취향이나 습관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6. 트러스로드(Truss Rod) Fender 제품에는 두 가지 타입의 트러스로드가 존재하는데 바로 "스탠다드(standard)" 와 "바이-플렉스(bi-flex)" 입니다. 대부분의 Fender 기타와 베이스는 스탠다드 트러스로드를 채택하고 있으며, 같은 스탠다드 타입이라도 넥 힐(Neck Heel)에서 조정하는 제품과 헤드스톡쪽에서 조정하는 두 가지 타입이 있지만, 둘 다 기본 원리는 동일합니다. 스트링의 장력에 의해 넥이 활모양으로 휜 것을 트러스로드를 조정하여(스트링의 장력과 반대의 힘을 가해주는 것) 바로 잡아 주는 것입니다. 바이-플렉스(bi-flex) 타입의 트러스로드 시스템은 스탠다드와 달리 넥이 활모양이나 혹은 활반대모양으로 휜 것을 모두 바로 잡아줄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트러스로드 조정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튜닝상태를 체크한 뒤 1프렛에 카포(Capo)를 장착하고 마지막 프렛의 6번줄을 살짝 눌러줍니다. 그리고 Feeler 게이지를 사용하여 8프렛에서의 줄과 프렛의 간격을 측정합니다. 정상적인 간격은 아래의 표를 참조하세요. Neck Radius Relief 7.27" .012" (0.3 mm) 9.5" ~ 12" .010" (0.25 mm) 15" ~ 17" .008" (0.2mm) - 헤드스톡쪽에서 조정할 때(Allen Wrench 사용) : 헤드스톡쪽에서 바디쪽으로 눈의 높이를 맞추고 지판의 모서리를 살펴봅니다. 넥이 안쪽으로 휘어 있으면(Action 이 너무 높으면) 트로스로드를 시계방향으로 돌려주어 스트링 장력에 의해 생기는 과잉의 텐션을 제거해 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넥이 바깥쪽으로 휘어 있으면(Action 이 너무 낮으면) 트러스로드를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려 스트링의 장력이 넥에 더 가해지도록 조정하여 줍니다. 다시 튜닝상태를 체크하고 Feeler 게이지와 트러스로드 조정을 반복하여 위의 수치에 맞추어 줍니다. - 넥 조인트에서 조정할 때(스크류 드라이버 사용) : 바디쪽에서 헤드스톡쪽으로 눈의 높이를 맞추고 지판의 모서리를 살펴봅니다. 넥이 안쪽으로 휘어 있으면(Action 이 너무 높으면) 트로스로드를 시계방향으로 돌려주어 스트링 장력에 의해 생기는 과잉의 텐션을 제거해 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넥이 바깥쪽으로 휘어 있으면(Action 이 너무 낮으면) 트러스로드를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려 스트링의 장력이 넥에 더 가해지도록 조정하여 줍니다. 다시 튜닝상태를 체크하고 Feeler 게이지와 트러스로드 조정을 반복하여 위의 수치에 맞추어 줍니다. 7. 액션(Action) 액션은 연주자의 취향이나 습관에 따라 다르게 세팅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가장 스탠다드한 세팅법을 소개합니다. 먼저 튜닝상태를 체크한 후 6" (150 mm) 자를 사용하여 17프렛에서의 줄 높이를 측정합니다. 브릿지의 새들을 조정하여 아래의 차트에 맞게 조정하고 다시 튜닝상태를 체크합니다. 가장 이상적인 사운드와 연주감이 느껴질 때까지 과정을 반복하고 테스트 합니다. Neck Radius 줄 높이(6~4번줄) 줄 높이(3~1번줄) 7.25" 5/64" (2 mm) 4/64" (1.6 mm) 9.5" ~ 12" 4/64" (1.6 mm) 4/64" (1.6 mm) 15" ~ 17" 4/64" (1.6 mm) 3/64" (1.2 mm) 8. 픽업(Pickups) 마지막 프렛에서 모든 줄을 손으로 누른 상태에서 6" (150 mm) 자를 사용하여 픽업의 폴-피스(Pole Piece)와 각 줄까지의 간격을 측정합니다. 넥 픽업과 6번줄과의 간격이 가장 넓어야 하며, 브릿지 픽업과 1번줄과의 간격이 가장 좁아야 한다는 것이 제일 중요한 규칙입니다. 다음의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테스트와 세팅을 반복하면서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위치를 찾아보아야 합니다. 픽업 종류 높이(6~4번줄) 높이(3~1번줄) Texas Specials 8/64" (3.6 mm) 6/64" (2.4 mm) Vintage Style 6/64" (2.4 mm) 5/64" (2 mm) Noisless™ Series 8/64" (3.6 mm) 6/64" (2.4 mm) Standard Single-Coil 5/64" (2 mm) 4/64" (1.6 mm) Humbuckers 4/64" (1.6 mm) 4/64" (1.6 mm) Lace Sensors 줄과 닿지 않을 만큼 최대한 가깝게 세팅 9. 추가 TIP 최적의 튜닝 안정성과 연주감을 위한 몇 가지 힌트가 있습니다. 먼저 매번 연주시 마다 최종 튜닝을 하기 전에 스트링 워밍업을 위해 몇 분간 플레이를 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금속은 따뜻할 때 팽창하고, 차가울 때 수축하므로 워밍업 과정을 통해 실제 연주시의 줄 상태에서 튜닝을 하면 더욱 정확한 튜닝을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튜닝 머신에서는 튜닝시 피치가 낮은 상태에서 원래의 피치까지 올려가며 튜닝하는 것이 좋으며, 락킹 튜너의 경우에는 반대로 높은 피치 상태에서 원래의 피치까지 낮춰가며 튜닝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연주 후에는 스트링과 넥, 브릿지 등을 보푸라기가 없는 천으로 닦아주는 것이 좋고, 악기를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는 비록 짧은 시간일지라도 좋지 않은 환경에 악기를 놔두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August 02. 2018 -
아이바네즈의 역사
"기술력과 진보를 무기로 항상 새롭고 테크니컬한 악기들을 생산해 내는 Ibanez(아이바네즈) 의 역사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Ibanez(아이바네즈)는 일본의 Hoshino Gakki(호시노 악기)가 소유한 기타 브랜드로 일본 나고야의 아이치(Nagoya, Aichi)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호시노 악기사는 미국과 유럽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둔 최초의 일본 악기회사중의 하나이며 7현 기타를 대량 생산한 최초의 회사이기도 합니다. Hoshino Gakki(호시노 악기)사는 도서판매사였던 Hoshino Shoten 사의 악기 세일즈 파트로 1908년 출발하였습니다. 호시노 악기는 1929년부터 스페인의 기타 브랜드 "Salvador Ibanez" 악기를 수입하기 시작했는데, 스페인 내전으로 이 브랜드가 자취를 감추면서 호시노 악기는 이 브랜드의 사용권을 구매함과 동시에 1935년부터는 이 브랜드의 이름으로 어쿠스틱 기타를 생산하였습니다. 처음에는 풀네임인 "Salvador Ibanez" 를 사용하다가 그 이후에는 "Ibanez" 를 브랜드명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까지 Ibanez(아이바네즈)는 유럽의 기타 디자인을 많이 카피했던 그 당시 일본 기타메이커와 마찬가지로 독특하고 거친 디자인의 기타를 생산해 냈는데 유럽의 Hagstrom 이나 EKO 기타와 유사한 디자인을 갖고 있었습니다. 1966년 자체 생산을 멈추고 호시노 악기는 Teisco(테이스코) 와 Fujigen(후지겐) 공장에서 Ibanez(아이바네즈) 기타를 생산했으며, 1970년 Teisco(테이스코) 공장이 문을 닫으면서 대부분의 Ibanez(아이바네즈) 악기는 Fujigen(후지겐) 공장에서 생산되었습니다. 1960년대 후반부터 일본 기타메이커는 미국의 기타 디자인을 카피하기 시작하였으며, Ibanez(아이바네즈) 역시 Fender, Rickenbacker, Gibson 등의 카피 모델들을 생산해 냈는데 이 과정에서 오리지널 브랜드로부터 소송을 당하는 등의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습니다. 소송 문제가 해결된 뒤 호시노 악기는 Iceman 이나 Roadstar 와 같은 독창적인 디자인을 선보이기 시작했으며,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 Frank Zappa 의 기타리스트였던 Steve Vai(스티브 바이)의 시그니쳐 모델 Jem 과 Universe 를 생산하기 시작하면서 Ibanez(아이바네즈)는 큰 부흥기를 맞게 됩니다. Steve Vai(스티브 바이) 시그니쳐 모델의 저가형 모델로 생산되기 시작한 RG 시리즈가 큰 인기를 끌면서 슈퍼스트랫(Superstrat) 타입의 기타시장에 성공적인 시장 진출을 하게 된 것입니다. 또한 호시노 악기는 Ibanez(아이바네즈) 세미-어쿠스틱이나 나일론, 스틸 어쿠스틱 기타 등의 라인업도 생산하였으며 1980년대 중반까지 대부분의 악기는 Fujigen(후지겐) 공장에서 생산되었으나 그 이후부터는 다른 아시아 국가(한국, 중국, 인도네시아)에서도 생산되기 시작하였습니다. Cimar 와 Starfield 역시 호시노 악기가 소유한 브랜드였으며, 1970년대에는 호시노 악기와 Kanda Shokai 가 일부 모델의 디자인을 공유하였기 때문에 아이바네즈와 그레코(Greco)의 일부 악기는 똑같은 모양과 사양을 갖고 있기도 합니다. 처음에 Kanda Shokai 의 그레코 기타는 일본내에서만 판매되었고 호시노 악기의 아이바네즈는 해외로 수출되었으나, 1982년부터는 아이바네즈 역시 일본내에서 판매되기 시작하였습니다. 현재 아이바네즈는 대표적인 RG 시리즈 일렉트릭 기타를 비롯하여 베이스, 이펙터 페달, 앰프, 어쿠스틱, 기타 액세서리 등 전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둔 악기 브랜드로 자리 잡았으며, 오랜 역사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매년 새로운 모델과 기존 모델의 업그레이드, 정상급 아티스트와의 Relationship 등 계속되는 발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August 02. 2018 -
Fender(펜더) 시리얼 번호 정보
Fender(펜더) 시리얼 넘버 규칙에 대한 정보입니다. USA Fender 와 Mexico Fender 로 구분되어 있으며, 소유한 Fender 제품이 언제 생산된 것인지 대략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아래 내용은 Fender 공식 홈페이지에서 발췌하였으며, 기타네트에서 번역하여 제공합니다. ● Fender(Made in U.S.A.) 시리얼 넘버 (1) 1954년 ~ 1964년 시리얼 번호 생산년도 ~ 6,000 1950 ~ 1954 ~ 10,000 1954 ~ 1956 10,000s 1955 ~ 1956 10,000s ~ 20,000s 1957 20,000s ~ 30,000s 1958 30,000s ~ 40,000s 1959 40,000s ~ 50,000s 1960 50,000s ~ 70,000s 1961 60,000s ~ 90,000s 1962 80,000s ~ 90,000s 1963 90,000s ~ L10,000s 1963 L10,000s ~ L20,000s 1963 L20,000s ~ L50,000s 1964 (2) 1965년 ~ 1976년 시리얼 번호 생산년도 L50,000s ~ L90,000s 1965 100,000s 1965 100,000s ~ 200,000s 1966 ~ 1967 200,000s 1968 200,000s ~ 300,000s 1969 ~ 1970 300,000s 1971 ~ 1972 300,000s ~ 500,000s 1973 400,000s ~ 500,000s 1974 ~ 1975 500,000s ~ 700,000s 1976 ※ 1965년 1월 Fender 는 CBS 에 매각되었으나 기존의 시리얼 넘버 규칙을 그대로 사용하여 크게 변동되는 내용은 없습니다. (3) 1976년 ~ 1981년 시리얼 번호 생산년도 76 + 5자리 숫자 S6 + 5자리 숫자 1976 S7 + 5자리 숫자 S8 + 5자리 숫자 1977 S7 + 5자리 숫자 S8 + 5자리 숫자 S9 + 5자리 숫자 1978 S9 + 5자리 숫자 E0 + 5자리 숫자 1979 S9 + 5자리 숫자 E0 + 5자리 숫자 E1 + 5자리 숫자 1980 S9 + 5자리 숫자 E0 + 5자리 숫자 E1 + 5자리 숫자 1981 (4) 1982년 ~ 1984년 시리얼 번호 생산년도 EI + 5자리 숫자 E2 + 5자리 숫자 E3 + 5자리 숫자 V + 4~6 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U.S. Vintage 시리즈) 1982 E2 + 5자리 숫자 E3 + 5자리 숫자 V + 4~6 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U.S. Vintage 시리즈) 1983 E3 + 5자리 숫자 E4 + 5자리 숫자 V + 4~6 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U.S. Vintage 시리즈) 1984 ※ 1982년 U.S. Vintage Series(빈티지 시리즈)가 첫 선을 보이면서 시리얼 번호에 "V" 접두사가 처음 생겼습니다. (U.S. Vintage 시리즈의 정확한 생산년도를 알기 위해서는 넥 분리후 뒤쪽에 인쇄된 스탬프를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5) 1985년 ~ 1989년 시리얼 번호 생산년도 E3 + 5 5자리 숫자 E4 + 5 5자리 숫자 V + 4~6 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U.S. Vintage 시리즈) 1985 V + 4~6 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U.S. Vintage 시리즈) 1986 E4 + 5 5자리 숫자 V + 4~6 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U.S. Vintage 시리즈) 1987 E4 + 5 5자리 숫자 E8 + 5 5자리 숫자 V + 4~6 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U.S. Vintage 시리즈) 1988 E8 + 5 5자리 숫자 E9 + 5 5자리 숫자 V + 4~6 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U.S. Vintage 시리즈) 1989 ※ 1985년 3월 CBS 는 다시 Fender 를 매각하였으나 기존의 시리얼 넘버 규칙을 그대로 사용하여 크게 변동되는 내용은 없습니다. (6) 1990년 ~ 1999년 시리얼 번호 생산년도 E9 + 5자리 숫자 N9 + 5자리 숫자 N0 + 5자리 숫자 V + 5~6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U.S. Vintage 시리즈) 1990 N0 + 5자리 숫자 N1 + 5~6자리 숫자 V + 5~6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U.S. Vintage 시리즈) 1991 N1 + 5~6자리 숫자 N2 + 5~6자리 숫자 V + 5~6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U.S. Vintage 시리즈) 1992 N2 + 5~6자리 숫자 N3 + 5~6자리 숫자 V + 5~6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U.S. Vintage 시리즈) 1993 N3 + 5~6자리 숫자 N4 + 5~6자리 숫자 V + 5~6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U.S. Vintage 시리즈) 1994 N4 + 5~6자리 숫자 N5 + 5~6자리 숫자 V + 5~6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U.S. Vintage 시리즈) 1995 N5 + 5~6자리 숫자 N6 + 5~6자리 숫자 V + 5~6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U.S. Vintage 시리즈) 1996 N6 + 5~6자리 숫자 N7 + 5~6자리 숫자 V + 5~6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U.S. Vintage 시리즈) 1997 N7 + 5~6자리 숫자 N8 + 5~6자리 숫자 V + 5~6자리 숫자 (American Vintage 시리즈) 1998 N8 + 5~6자리 숫자 N9 + 5~6자리 숫자 V + 5~6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American Vintage 시리즈) 1999 ※ 접두사 "N"은 1990년대에 생산된 제품을 표시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그러나 시리얼 넘버와 데칼이 먼저 생산되면서 1990년에 생산된 기타에 N9(원래는 1999년 제품을 의미) 시리얼이 붙는 오류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1990년에 생산된 기타중의 일부는 N9 으로 시리얼 번호가 시작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7) 2000년 ~ 2009년 시리얼 번호 생산년도 N9 + 5~6자리 숫자 Z0 + 5~6자리 숫자 DZ0 + 5~6자리 숫자 (Am. Deluxe) V + 5~6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American Vintage 시리즈) 2000 Z0 + 5~6자리 숫자 Z1 + 5~6자리 숫자 DZ1 + 5~6자리 숫자 (Am. Deluxe) V + 5~6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American Vintage 시리즈) 2001 Z1 + 5~6자리 숫자 Z2 + 5~6자리 숫자 DZ2 + 5~6자리 숫자 (Am. Deluxe) V + 5~6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American Vintage 시리즈) 2002 Z2 + 5~6자리 숫자 Z3 + 5~6자리 숫자 DZ3 + 5~6자리 숫자 (Am. Deluxe) V + 5~6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American Vintage 시리즈) 2003 Z3 + 5~6자리 숫자 Z4 + 5~6자리 숫자 DZ4 + 5~6자리 숫자 (Am. Deluxe) V + 5~6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American Vintage 시리즈) XN4 + 4자리 숫자 2004 Z4 + 5~6자리 숫자 Z5 + 5~6자리 숫자 DZ5 + 5~6자리 숫자 (Am. Deluxe) V + 5~6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American Vintage 시리즈) XN5 + 4자리 숫자 2005 Z5 + 5~6자리 숫자 Z6 + 5~6자리 숫자 DZ6 + 5~6자리 숫자 (Am. Deluxe) V + 5~6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American Vintage 시리즈) XN6 + 4자리 숫자 2006 Z6 + 5~6자리 숫자 Z7 + 5~6자리 숫자 DZ7 + 5~6자리 숫자 (Am. Deluxe) V + 5~6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American Vintage 시리즈) XN7 + 4자리 숫자 2007 Z7 + 5~6자리 숫자 Z8 + 5~6자리 숫자 DZ8 + 5~6자리 숫자 (Am. Deluxe) V + 5~6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American Vintage 시리즈) XN8 + 4자리 숫자 2008 Z8 + 5~6자리 숫자 Z9 + 5~6자리 숫자 DZ9 + 5~6자리 숫자 (Am. Deluxe) V + 5~6자리 숫자 ('52 Telecaster 를 제외한 American Vintage 시리즈) XN9 + 4자리 숫자 2009 ※ 접두사 "Z"는 2000년대에 생산된 제품을 표시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일반 American 모델은 Z, American Deluxe 모델은 DZ 로 시작합니다. (8) 2010 ~ 2011 2010년 생산 모델은 두 가지 규칙이 존재합니다. - "10" 으로 시작하는 경우 : 2009년 말과 2010년 초기의 몇 개월 동안 생산된 모델은 '10' 으로 시리얼 번호가 시작됩니다. - "US" 로 시작하는 경우 : 위의 규칙이 변경되어 2010년 초기 이후 생산 모델은 'US10' 으로 시리얼 번호가 시작됩니다. 2011년 부터는 두번째 규칙이 계속 적용되어 'US11' 로 시리얼 번호가 시작됩니다. (9) 그 밖의 불규칙한 시리얼 번호들 시리얼 번호 설 명 AMXN + 6자리 숫자 California 시리즈 electric guitars / basses; 1997 ~ 1998 DN + 6자리 숫자 American Deluxe 시리즈; 1998 ~ 1999 NC(XXXXXX) Squier? Strat Bullets (년도 불명) FN(XXXXXX) 수출용으로 제작된 U.S Made 기타와 베이스 (스탠다드 스트랫 스펙으로 제작되었으며 생산년도 불명) I(XXXXXXX) 1989~1990년도에 생산된 수출용 기타로 Neck Heel 에 "Made in USA" 스탬프가 인쇄되어 있음 LE(XXXXXX) 1994년에 생산된 Gold 하드웨어 Blonde Jazzmaster?, Jaguar? 기타 (Blonde Deluxe Reverb? 앰프와 세트로 프로모션용 판매) CN(XXXXXX) VN(XXXXXX) 한국산 Fender/Squier 기타 (생산년도 불명) CA(XXXXX) 1981,1982,1983 년도에 생산된 Gold Stratocaster CB(XXXXX) Precision? Bass Special (1981~), Gold Jazz? Bass (1982~) CC(XXXXX) 1981,1982,1983 년도에 생산된 Walnut Stratocaster CE(XXXXX) Precision Bass Special (1981~) 와 Black and Gold Telecaster (1981-1982) CD(XXXXX) CO(XXXXX) Precision Bass Special (Walnut) (1982~) GO(XXXXX) Precision Bass Special (Walnut) (1982~), Gold Stratocaster (1982-1983) D(XXXXXX) Jazz Bass (1982~) SE(XXXXXX) SN(XXXXXX) SZ(XXXXXX) Signature 시리즈 SE8(XXXXX)-1988, SE9(XXXXX)-1989 SN0(XXXXX)-'90, SN1(XXXXX)-'90, SN2(XXXXX)-'92,?etc. SZ0(XXXXX)-2000, SZ1(XXXXX)-2001, SZ2(XXXXX)-2002, etc. 3 자리 숫자 / 500 35주년 기념 Strat (1989-1990) G(XXXXXX) "Start" (1980~) Gold 하드웨어, two-position rotary tone switch 4 자리 숫자(스탬프) U.S. '52 Vintage Telecaster 1982-1988 5 자리 숫자(스탬프) U.S. '52 Vintage Telecaster 1988-현재 T(XXXXXX) Tribute 시리즈 C(XXXXXX) Collectors 시리즈 XN(XXXXX) FSRs, '52 Teles ● Fender(Made in Mexico) 시리얼 넘버 시리얼 번호 생산년도 MN0+ 5자리 숫자 1990-1991 MN1+ 5자리 숫자 1991-1992 MN2+ 5자리 숫자 1992-1993 MN3+ 5자리 숫자 1993-1994 MN4+ 5자리 숫자 1994-1995 MN5+ 5자리 숫자 1995-1996 MN6+ 5자리 숫자 1996-1997 MN7+ 5자리 숫자 1997-1998 MN8+ 5자리 숫자 1998-1999 MN9+ 5자리 숫자 1999-2000 MZ0+ 5자리 숫자 2000-2001 MZ1+ 5자리 숫자 2001-2002 MZ2+ 5자리 숫자 2002-2003 MZ3+ 5자리 숫자 2003-2004 MZ4+ 5자리 숫자 2004-2005 MZ5+ 5자리 숫자 2005-2006 MZ6+ 5자리 숫자 2006-2007 MZ7+ 5자리 숫자 2007-2008 MZ8+ 5자리 숫자 2008-2009 MZ9+ 5자리 숫자 2009-2010 MX10 + 5자리 숫자 2010-2011 MX11 + 5자리 숫자 2011-2012August 02. 2018 -
ERNIE BALL 볼륨 페달 CORD SPRING 키트 설비법
그림 A 1. 상단 플레이트의 뒷면, 발꿈치 부분에 위치한 구멍으로 짧은 케블러 줄을 통과 시키십시오. 줄을 아래에 위치한 검은색 풀리(도르래)의 아래 방향으로 통과 시키신 후, 스프링을 체결 시키십시오 (그림 A). 케블러 줄을 페달의 내부에 위치한 메인 축으로 통과시키신 후 그대로 두십시오. 페달을 “토-업(뒤꿈치를 내려 페달의 앞부분이 들려져 있는 모양)” 상태로 위치 시키십시오. 상단 플레이트의 뒷면, 앞 부분에 위치한 구멍을 통해 긴 케블러 줄을 통과 시키십시오. 그림 B 2. 브라스 포트 풀리를 반시계 방향으로 끝까지 돌리십시오. 브라스 풀리의 후면 부분에서부터 (그림 B), 케블러 줄을 시계 방향으로 3회 감으십시오. 중요: 케블러 줄은 반드시 풀리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감아야 하며, 검은색 마운팅 블록에 최대한 근접해서 감으십시오. 줄이 꼬이거나 3회 이상 감으시면 안됩니다. 그림 C 3. 페달의 개방된 옆 부분에서 긴 케블러 줄에 스프링을 조심스럽게 연결하신 후 잡고 계십시오 (그림 C) 힌트: 이 과정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해서 페이퍼 클립과 같은 작은 걸쇠 장치를 사용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그림 D 그림 E 4. 긴 케블러 줄을 전면 방향으로 당겨서 앞쪽의 검은색 풀리에 걸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림 D). 짧은 줄은 후면의 검은색 풀리에 걸치도록 합니다. 마지막으로 페달의 앞 방향에서 상판 플레이트를 바닥쪽으로 천천히 누르면서 스프링을 조심스럽게 앞으로 당기십시오(그림 E). 스프링을 계속 당기면서 브라스 포트 풀리를 반시계 방향으로 끝까지 돌리십시오. 이 작업으로 포트와 코드가 완벽하게 체결됩니다.March 20. 2019